go_bunzee

모임 공공미술 심의 AI- PASS AI

project

[projectLocation3String.KR01] 공공미술 심의 AI- PASS AI

  • jsOo

    jsOo

    (phone_verification) 1일전 login
  • is_recruitingprojectStatusString.02
    0

    recruiting_status_title

    • jobDetailString2.0505

      0/3
    apply_input ✍️ (total5unit_count) applyInputString.email, applyInputString.type, applyInputString.reason, applyInputString.gender, applyInputString.age

    platform_title

    platformString.01

    ai_analysis_title

    ai_analysis_desc
    **1) 단기/중기/장기 관점에서 주요 소비자의 특성이나 규모 그리고 니즈분석**
    - **단기 관점:** 초기 타겟은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주로 담당하는 예술가와 기획자, 건축사무소, 공공기관 담당자입니다. 이들은 행정적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필요로 합니다. 현재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심의 과정을 간소화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주요 니즈입니다.
    - **중기 관점:**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더 많은 예술가 및 기획자와의 협업이 증가하고, 다양한 공공기관에서 수요가 확대될 것입니다. 이 시점에서는 사용자 경험 개선과 더 많은 예술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 필요합니다.
    - **장기 관점:**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진출 및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와 협력을 통해 예술계 전반의 심의 과정을 혁신하고자 합니다. 외국의 공공미술 심의 과정에도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모델을 개발하여 확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와 그 이유, 그리고 예상 경쟁업체와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현재 시장은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심의 과정의 필요성을 느끼는 여러 예술가 및 기획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향후 3년간 AI를 활용한 행정 절차 자동화가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플랫폼의 수요도 증가할 것입니다. 이와 동시에 경쟁업체는 예술행정을 자동화하는 다른 스타트업이나 기존의 예술 관리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Beyond Museum이나 CultureEye 같은 기업들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차별화 기능이나 전략**
    - **심의 통과 예측 알고리즘의 정확성:** 공공미술 심의 회의록을 포함한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높은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 **자동화된 지원 서류 생성:** 사용자가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서류 초안을 생성하여 행정 절차를 간편화합니다.
    - **사용자 맞춤형 피드백 시스템:** 개인화된 피드백 및 가이드를 제공하여 예술가와 기획자가 최적의 프로젝트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출시 플랫폼의 우선순위와 이유**
    - **모바일 앱:** 예술가 및 기획자들이 현장에서 빠르게 정보에 접근하고 업데이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모바일 기반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 **PC 웹:** 자료 관리와 분석이 용이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므로 웹 플랫폼을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관리하고 분석하도록 지원합니다.
    **5) 초기 시장 진입전략**
    - **테스트베드 확보:** 초기에는 특정 지역이나 기관과 협력하여 시범운영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개선합니다.
    - **파트너십 구축:** 공공기관 및 미술 관련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내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자를 확보합니다.
    - **홍보 활동 강화:** 공공미술 심의 프로세스 간소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여 관련 분야의 관심을 끌어냅니다.
    **6)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 **글로벌 시장 진출:** 해외의 공공미술 심의 절차도 지원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켜 다양한 시장으로 진출합니다.
    -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로의 확장:** 공공미술 외에도 다양한 예술 분야의 심의 절차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분석 기반의 서비스 확장:** 심의 외에도 프로젝트 관리 및 예술적 데이터 분석 기능을 통해 고객에게 추가 가치를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1. 프로젝트 소개

    1) 시작 동기

    공공미술 심의 과정은 예술가와 기획자에게 복잡하고 불투명한 절차로 다가옵니다.

    심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탈락하는 경우가 많고, 행정 서류 작성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미술 심의 과정을 AI로 단축, 자동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예술가와 기획자가 본연의 창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심의 준비를 데이터 기반으로 지원하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합니다.

    현재 본 프로젝트는 서울AI허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IR 피칭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AI MVP 개발 단계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2)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

    공공미술 심의 통과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지원 서류를 생성해주는 AI 플랫폼을 개발합니다.

    3) 주요 목표

    • 공공미술 심의 회의록 1만 건 이상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심의 통과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 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심의서 초안, 예산 명세서, 작품 개요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AI 지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 장기적으로는 AI 심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해, 예술가들이 사전에 통과 확률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MVP 단계 목표

    1. - 심의 통과 예측 알고리즘 개발

    2. - 심의서 자동 초안 생성 기능

    3. - 공공미술 법·규정 데이터 자동 매칭 기능

    4. - 사용자 맞춤형 피드백 및 가이드 제공

    5. - 시각화 기반 예측 결과 리포트 생성

    5) 타겟 사용자층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예술가, 기획자, 건축사무소, 공공기관 담당자를 주요 타겟으로 합니다.
    이들은 심의 준비 과정에서 행정적 부담을 느끼며, 데이터 기반 예측과 자동화 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 진행을 원합니다.


    2. 회의 진행 및 모임 방식

    1) 회의 빈도

    • 오프라인 회의: 주 2회 (2시간, 서울·경기 지역 중심)

    • 온라인 회의: 주 2회 (Google Meet을 활용)

    2) 협업 툴

    • Slack: 팀 내 커뮤니케이션 및 파일 공유

    • Notion: 문서 정리 및 프로젝트 관리

    • Google Drive: 데이터 및 파일 관리


    3. 저의 경험 및 역할

    1) 현재까지의 경험

    사업기획(BD/BA) 분야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과 AI 모델 개발 관련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했습니다.
    공공미술 심의 회의록 데이터(1만 건 이상)를 수집 및 구조화한 경험이 있으며 IR 피칭 및 창업경진대회에서 수상 경험이 다수 있습니다.

    2) 본 프로젝트에서의 역할

    • - 프로젝트의 전체 방향성 설정

    • -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알고리즘 설계 총괄

    • - 서비스 구조 기획 및 UX 전략 수립

    • - 팀 내 커뮤니케이션 조율 및 실행 관리


    4. 현재 모집 중인 포지션

    역할: AI 개발자

    주요 업무: 심의 예측 모델 개발, 데이터 정제 파이프라인 구축

    비고: 초기 활동비 100만원 + 협의 후 지분 제안 가능 (이후 MVP 완성 단계에 따라 성과 기반 추가 보상 또는 지분 분배 협의 가능)


    5. 함께하고 싶은 사람

    • AI 기술을 공공·예술 분야 문제 해결에 적용해보고 싶은 사람

    • 데이터로 사회적 혁신을 만들고 싶은 사람

    • 스타트업의 초기 실험과 성장 과정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사람

    project_news_title

    • no_news_yet

    member

    projectTypeString2.01 waiting_apply

    프로젝트 apply

    leader_info

    jsOo

    jsOo

    leader_authrespond_rateno_respond_rate

    period

    25.11.04 ~26.05.04  (182day)

    field

    projectIndustryString.12

    following_people 0people_count